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오리키 료이치

덤프버전 :




일본국 제3대 통합막료장
折木 良一
오리키 료이치 | Ryoichi Oriki
파일:오리키 료이치.jpg
출생1950년 2월 10일
구마모토현
재임기간제30대 육상막료장
2007년 3월 28일 ~ 2009년 3월 23일
제3대 통합막료장
2009년 3월 24일 ~ 2012년 1월 31일
경력방위성 고문
방위대신보좌관
방위대신정책참여
후지쯔 주식회사 상임고문
국가안전보장국 고문
국가안전보장국 특별고문
일본 지뢰처리를 지원하는 모임 회장
내각부 우주정책위원회 위원
군사 경력
임관방대 16(육사 28)
복무육상자위대
1972년 ~ 2012년
병과야전특과
최종 계급육상막료장 (육상자위대)
최종 보직통합막료장
주요 보직오사카지방연락부 모집과장
제3특과군장
육상막료감부 보임과장
중부방면총감부 막료부장
육상막료감부 장비부장
제9사단장
육상막료부장
중부방면총감
육상막료장

1. 개요
2. 생애



1. 개요[편집]


일본의 육상자위관.

2. 생애[편집]


1950년 구마모토에서 태어났다. 1968년방위대학교 16기(육군사관학교 28기)로 입학하여 1972년에 졸업했다. 병과는 야전특과(野戦特科)로 포병에 해당한다. 방대에서 전공은 기계공학이었다.

1983년소령, 1987년중령으로 진급했고 1991년대령으로 진급했다. 대령 시절에는 오사카 지방연락부 모집과장[1], 제3특과군장(第3特科群長)[2], 육상막료감부(육군본부) 인사부 보임과장[3] 등을 지냈다.

1997년장보로 승진했고 중부방면대 총감부에서 막료부장(부참모장)을 지냈다.[4] 2001년에 육상막료감부 장비부장[5]을 지냈다.

2003년육장으로 진급했고 제9사단장, 육상막료부장 등을 지냈다. 2005년에는 중부방면대 총감으로 취임했고 2007년에 제30대 육상막료장으로 등극했다. 전임자는 모리 쓰토무였다. 후임자는 히바코 요시후미이다. 2009년에는 3대 통합막료장(합참의장)으로 영전했다.

파일:/image/003/2010/02/08/NISI20100208_0002282575_web.jpg
2010년 2월 8일에는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. 당시 합동참모의장이상의 대장과 장병들의 경례를 받고 있다. 가장 왼쪽의 인물이 오리키 료이치이다. 같은 해 11월 18일민주당 소속의 센고쿠 요시토(仙谷由人) 의원이 자위대를 "폭력장치인 자위대(暴力装置でもある自衛隊)"라고 표현하자 "우리는 할 일을 할 뿐(われわれはやることをきちんとやっていくだけ)"이라고 표현하였다.

2012년에 퇴임했고 이와사키 시게루가 뒤를 이어 통합막료장으로 취임했다. 퇴임하고 두 달 뒤인 2012년 3월방위성고문이 되었고 7월에 방위대신 보좌관이 되었으나 12월노다 요시히코 내각이 총사퇴함에 따라 사퇴하였다. 2013년 4월아베 신조 내각에서 다시 그를 방위대신 보좌관으로 임명하였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0 05:41:35에 나무위키 오리키 료이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자위대징병제가 아닌 모병제인지라 병무청 대신에 지방마다 모병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를 설치해두고 있다.[2] 군(群)은 group을 번역한 단어로 대령급 지휘관이 보임되는 부대를 말한다.[3] 인사 중에 보직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자리로 꽤나 요직이다. 오리키의 뒤를 이어 육상막료장(육군참모총장)을 역임한 히바코 요시후미도 대령 시절에 해당 보직을 거쳤다.[4] 장보로 진급하면 보통 참모 보직인 막료부장부터 시킨다. 한국에서도 갓 대령들에게 참모장을 시키는 것과 비슷하다. 방면대는 대략 군단급의 부대이긴 하지만.[5] 한국으로 치면 육본 군수참모부장에 상당한다.